빅 데이터(2)
-
빅 데이터 시대의 사랑: 사랑에 공식이 존재할까? (5)
하지만 나는 이 방법들 중 하나가 내 혼란에 빠진 러브 라이프를 해결해주길 바랄 정도로 열정적이었지만, 내심 IKEA에서 가져와 내가 조립한 것처럼 사랑이 매뉴얼에 따라 구축될 수 있거나 구축되어야 한다는 말에 확신을 가지지 못했다. 우리는 예측할 수 없는 가능성을 부정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나와 내 친구들이 말은 하지 않지만 마음속에 담아둔 사랑은, 자기 지식만으로 흠 없이 구성된 삶을 사는 것이다. 우리는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할 일 목록 및 버킷리스트, 그리고 2개년, 5개년 그리고 20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내 친구 중 한 명은 iPhone을 활용해 하루 종일 자신의 “핵심 가치”를 상기 시키도록 설정했고, 이로 인해 그는 잠시라도 길을 잃고 헤매는 일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나에게 ..
2017.08.26 -
‘빅 데이터 시대의 사랑: 사랑에 공식이 존재할까? (3)
1970년대가 시작되면서, 이혼율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 심리학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결혼 생활의 행복이 무엇에서 오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과학이 이를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 사회 심리학자들은 결혼의 성공 혹은 실패의 원인이 무엇인지 연구하기 위해 독창적인 기법들을 광범위하게 선보이기 시작했다. 사회 심리학자들은 연구 참여 커플들에게 상대방에 대해 싫어하거나 좋아하는 모든 것을 적도록 한 다음, 그 커플들이 소파에서 얼마나 가까이 앉아 있는지를 살펴봤다. 사회 심리학자들은 커플들에게 실험실 테이블 밑에 설치된 다이얼을 돌려 파트너가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평가하게 함과 동시에, 여행을 위해 짐을 싸는 방법에 대해 논쟁하도록 했고, 심지어 싸우도록 조장하기도 했다. 한 연구에 따르면..
2017.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