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19)
-
New Normal: 가칭 새로운 세상
한동안 New Normal이란 단어가 매체에 나타났었다. 필자도 온라인 북으로 엮었다. 기약 없이 지연되는 COVID-19 해결에 대한 염원의 대명사로 생각했다. New Normal이란 무엇인가? 필자는 ‘질서가 바뀐 새로운 세상’이라 정의했다. 왜 일까? ㅇ 비 접촉 거래, Take-out 중심 거래, 원격 협업, 집콕족 경험자가 크게 늘었다. ㅇ 위생 인식이 상승했다. 개인의 청결이 주목 받았지만 타인과의 비 접촉이 더 주목 받았다. 오프라인 매장 거래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몇 십 년 동안 트래픽 최고였던 명동이 한산하기까지 했고, 폐업을 한 매장이 날이 갈수록 늘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방문 장소마다 손을 소독한 덕분에 병원에 환자가 줄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우리는 행복을 위해 많은 일을 한..
2020.12.11 -
행복 체크
‘우리는 행복하다는 사실을 모르기에 불행하다’ 양승권 작가의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의 첫 챕터 첫 글의 제목이다. 책을 계속 읽어 보자. ‘장자(莊子) 사람의 뱃속에는 빈 공간이 있고, 마음에도 자연스럽게 놀 수 있는 텅 빈 공간이 있다. 마음에 자연스럽게 놀 수 있는 청 빈 공간이 없으면 눈, 귀, 코, 입, 마음, 지식/지혜 등에 의해 발동한 정욕들이 서로 싸우게 된다. 사람들이 큰 숲속이나 산속을 좋아하는 이유는 정신이 정욕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이다.‘ ‘때때로 인간관계 때문에 불행해지는 것은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미리 거창하게 정해 놓은 자신의 목표를 위해 상대를 개조하려고 할 때가 많다. 하지만 이런 태도는 상대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정해 놓은..
2020.12.11 -
짐의 규모
수렵채집인들은 매달, 매주, 심지어 매일 집을 옮겼다. 가진 것을 모두 등에 짊어지고 말이다. 이삿짐센터도 짐마차도 짐을 운반할 가축도 없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몇 가지만 가지고 견뎌내는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이들의 정신적, 종교적, 감정적 삶의 태반은 인공물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이뤄졌다고 가정하는 것이 이치에 맞다.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2018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일반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2%라 한다. 2017년 55.9%에 비해 증가된 수치이나 43.8%는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 주택을 소유치 않은 가구가 보유한 물건의 규모는 얼마나 될까? 아마도 사용치 않는 물건이 꽤 많을 것이다. ‘미니멀리즘’의 유행으로 소유 물건의 규모를 줄인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예상이 되..
2020.08.05 -
행복, 절대적이자 상대적인 감각
우리는 언제 행복을 느끼게 될 까? 필자는 ‘매일 행복한 내가 되고 싶다(https://brunch.co.kr/brunchbook/happyday)’와 ‘매일 행복한 나 – 에세이 편(https://brunch.co.kr/brunchbook/happyessay)’을 쓸 만큼 최근 행복이라는 주제에 집중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가 가져온, 강제적 자가 격리,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로 타인과 거리를 두고 살고 있다. 최근에 그 거리가 점점 줄어들어 새로운 일상(New Normal 혹은 Next Normal)이 다가온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타인과의 거리 두기는 한편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토요일 저녁 혼자 있으면서 우울해지지 않는 법(하이케 ..
2020.07.28 -
그래서, 어떻게 할까요?
아침에 눈을 뜨면 언제나 나를 기다리고 있다. 중요한 일이, 때로는 일들이. 맞다. 중요한 일 혹은 일들이 내 앞에 떨어지는 것을 보니, 그래 ‘난 중요한 사람’인가 보다. 물론 그 일이 내게 중요할 때도 있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었다. 난 욕심쟁이다. 중요한 사람인데도 더 행복하고 싶으니까. 누군가는 말했다. 타인을 움직이기 전에 그를 먼저 인정하라고. 그가 자신이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라고.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은 인간이 평생 갈구하는 욕망 중 하나라는 말도 빼놓지 않았다. 이렇게 중요하고 인정받는 사람이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니, 좀 이상하지 않은가? 자신이 중요한 것을 인식하고 인정받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는데 행복하지 않다니. 혹시 내 인지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일까? 중요한 일..
2020.06.26 -
행복 위해 풀 과제
행복하기 위해 풀 과제는 무엇일까? 우선 경제적 안정 측면에서 내가 풀 과제는 직장 내에서의 안정적 위치 확보이다. 그러나 한 가지를 더 생각하기로 했다. ‘개인은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없나?’ 회사를 다니는 직장인에게 어쩌면 위험한 발상일 수 있다. 대부분의 조직이 자신만 사랑하길 바란다. 질투심이 엄청나고, 한눈 판 것이 발각되면 바로 사형이다. 그러나 개인의 입장에서, 특히 맞벌이를 하고 있는 개인의 입장에서 미래의 불안을 떨치고자 하는 마음이 있음을 다시 상기했다. 부모와 함께 살고 있고 아내와 필자 그리고 아이가 하나. 총 5명 중 아내와 내가 가정의 수입을 담당하고 있다. 아이와 부모님은 병원비용이 예상 외 비용으로 점점 자리 잡는다. 아이의 경우 예방 접종 등 예측 가능한 비용이 많지만 점점..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