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3)
-
밀키트 사업 두 번째 이야기
*밀 키트 첫 번째 이야기: http://naver.me/GcjqrwcX 밀 키트 전문 몰 구상 [BY 가브리엘의오보에] 왜 밀 키트 Meal kit인가? 밀 키트는 한 끼의 식사를 조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식... m.post.naver.com 밀 키트 판매를 활성화할 방법으로 몇 가지 생각한 바가 있다. 1. 밀 키트가 각광 받을 시장 상황 1.1 우리나라 사람들은 엽채류를 좋아한다. - 우리나라 사람들은 엽채류(잎을 식용하는 채소)를 많이 먹는다. 식사가 서양, 동양, 한식이 뒤섞여 있지만 그럼에도 엽채류 소비를 선호한다 말할 수 있다. - 엽채류: 상추, 시금치, 배추, 열무, 얼갈이배추, 갓, 양배추, 케일, 청경채, 쑥갓, 치커리, 미나리, 근대, 부추, 파, 고수, 달래, 냉이, 어린잎채소 등..
2021.05.22 -
연필을 들어야 머리가 돌아가
종이를 사용하지 않는 사무실을 한 때 Paperless Office라 칭한 적이 있다. 프린터 회사가 들으면 큰 일이 날 세상이고, 모니터와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회사는 적극 목소리를 높일 캠페인 주제다. 한 때, 창고형 매장에서 저렴한 값에 다량의 A4 용지를 구매해 사용한 적이 있다. 자료를 읽을 때 인쇄된 종이를 클리어 파일에 넣고 다니며 읽었다. 집에는 흑백 레이저 프린터가 있어서 워드 프로세서 10 페이지 정도는 순식간에 인쇄했으니 굳이 메모도 필요 없이 웹브라우저에서 인쇄 버튼만 누르면 되었다. 디지털 세상의 시작이지만 데이터는 종이로 보던 시대이기도 했다. 애플이 모바일 세상의 처음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시선은 점점 종이에서 모니터로 옮겨졌다. 손안의 모니터로 볼 것들이 점점 많아졌다. ..
2020.07.27 -
인구 절벽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이미지는 여기서: Photo by Gaetano Cessati on Unsplash *이미지는 여기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1211738001 일본과 대한민국에 일어나고 있는 공통적인 현상은 지방 인구의 급감, 즉 인구 절벽의 형성이다. 일본이 대한민국보다 진행 속도가 더 빠르다. 지방의 인구는 해방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당시에는 낙후된 농촌에서 벗어나 도시 생활을 위해 도시로 집중되었다. '말은 제주로, 사람은 서울로'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이는 부모들의 마음도 한몫을 했다. 지방은 조선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도 '고생의 땅'이었다. 귀족이나 양반의 수탈, 즉 1년 1회 수확하는 생산물에 대해 정전제를 ..
201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