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2)
-
인구 절벽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이미지는 여기서: Photo by Gaetano Cessati on Unsplash *이미지는 여기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1211738001 일본과 대한민국에 일어나고 있는 공통적인 현상은 지방 인구의 급감, 즉 인구 절벽의 형성이다. 일본이 대한민국보다 진행 속도가 더 빠르다. 지방의 인구는 해방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당시에는 낙후된 농촌에서 벗어나 도시 생활을 위해 도시로 집중되었다. '말은 제주로, 사람은 서울로'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이는 부모들의 마음도 한몫을 했다. 지방은 조선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도 '고생의 땅'이었다. 귀족이나 양반의 수탈, 즉 1년 1회 수확하는 생산물에 대해 정전제를 ..
2018.01.26 -
도시를 논하다
도시로 사람들이 몰려 드는 것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부모는 시골 출신이지만 도시에서 태어나 그대로 거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시골에서 도시로 몰려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시에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시골의 장점을 망각한 것은 아닌가? '도시'라는 단어에서 내게 떠오르는 이미지는 편리함, 세련됨이다. 편리함이란, 거주지를 중심으로 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것을 구할 수 있음이다. 세련됨은, 말끔한 정장을 입고 일하는 모습과 극장, 레스토랑, 백화점, 스타일리시한 사람들이 모이는 거리이다. 적어도 대중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모습들을 도시는 부분 집합으로 보유하고 있다. '시골'이라는 단어에서 내게 떠오르는 이미지는 자연이 살아 있음과 농수축임광업 활동이다. 인공적 경작지가 가득하지만 그 주위를 산..
2017.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