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지난 글 2021. 5. 13. 15:39728x90반응형SMALL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 + 재생에너지'의 개념.
신에너지는 기존 화석 연료를 변환 활용하거나, 수소나 산소의 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전기 혹은 열을 내는 에너지를 말한다. 예를 들면, 수소 에너지, 연료 전지, 석탄 액화, 석탄 가스화 에너지 등이 있다. 재생에너지는,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해 활용한 에너지를 말한다. 예를 들면, 태양광, 태양열, 풍력, 수력, 해양 에너지, 지열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폐기물 에너지 등이 있다.
신에너지 중 석탄가스화 액화는, 선탄, 중질잔사유 등의 저급 원료를 고운, 고압 하에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 반응을 일으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가스를 제조 정제한 후, 가스터빈 및 증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신 발전 기술이다. 이 기술은 발전 효율이 높고 대기 오염원 중 하나인 '황(S)' 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고 한다.
신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정도를 검색어 트렌드 제공 서비스에서 살펴봤다. 이 결과는 비교 검색어 간 검색 정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세로축 '100'에 가깝다고 모든 검색 사용자가 이 키워드에 관심이 높다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각 키워드의 검색 횟수를 합산, 조회 기간 내 최대 검색량을 100으로 잡았을 때, 시간 추이에 따른 검색량 변화를 보여준다.
재생 에너지의 활용 현황은 이렇다.
건축물 관련
2017년 현재, 전체 에너지 수요 중 14%를 차지한다. 이 중 3/4는 냉난방으로 화석 연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2018년 기준 재생 에너지는 냉난방용으로 필요 에너지 수요 중 10.1%만 공급 됐다. 2010년 8%였던 것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건축물 관련 재생 에너지는 바이오 에너지가 가장 많고,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 태양열, 지열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재생 에너지 사용 증가는 재생 에너지로 생산된 전기, 태양열이고, 바이오 에너지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산업 관련
재생에너지는 이 분야 수요 중 14.5%를 차지했으며 그 중 절반은 바이오에너지다. 바이오에너지는 펄프 및 제지 산업에서, 태양열과 지열은 농업, 섬유산업, 식품 및 음료 제조업, 광업에서 사용됐다.
운송 관련
최종 에너지 소비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비율은 가장 낮아 3.3%에 불과하다. 대부분 화석 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바이오 연료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는 매우 적은 부분만 차지하고 있다.
발전 관련
재생에너지 활용 발전 분야에서 2019년 200GW 이상의 성장이 있었고, 대부분이 태양광이다. 2019년 전 세계적으로 32개 국가가 최소 10GW의 재생 에너지 활용 발전 용량이 늘었으며, 2010년대 초 19개국이었던 것에 비해 큰 증가다.
재생 에너지 공급 현황은 다음과 같다.
바이오에너지
2018년 전 세계 최종 에너지 수요 중 5.1%를 공급했고, 이는 최종 소비 재생에너지 중 절반을 차지한다.
지열 발전 및 열
전 세계 지열 발전 가능 용량은 13.9GW에 이르렀다. 지열을 응용하는 사례는 최근 연평균 8%씩 증가하고 있으며, 난방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가장 활발한 시장은 유럽과 중국이며, 중국의 성장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 높은 비용과 위험부담이 문제였으나, 신기술 연구 및 혁신 기술이 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력
2019년 전 세계 수력발전시설 용량은 15.6GW 증가로 총 1,150GW가 됐다. 2019년 수력발전은 2.3% 증가, 4,306TWh가 됐다.
해양에너지
전체 재생에너지 시장 중 가장 적은 분야. 2019년 말 총 용량은 535MW로 예측되고 있다. 해상에너지 개발은 대부분 유럽에 집중되어 있으며, 유럽의 조력 발전이 2019년 15GWh에 달해, 2018년 대비 50% 증가된 양이다.
태양광발전
2019년 태양광발전 시장은 12% 증가, 총 627GW다.
집광형 태양열 발전
2019년 11% 성장해 6.2GW에 달했고, 600MW가 곧 가동될 예정이다. 지난 십년 간 매년 24%씩 성장한 것보다 적지만, 프랑스, 이스라엘, 쿠웨이트 등 신규 시장이 확대됐으며, 중국과 남아프리카도 신규 플랜트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2019년 말 기준 21GWh의 축열시장이 이와 연계되어 운용되고 있다.
풍력발전
전 세계 풍력 시장은 2019년 19%인 60GW 증가 되어 총 650GW가 됐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이며, 중국 및 미국 정책 변화와 유럽 증가에 기인했다.
*참고
http://blog.energy.or.kr/?p=21527https://home.kepco.co.kr/kepco/CO/H/htmlView/COHAHP001.do?menuCd=FN420102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0 세계 재생 에너지 현황'
#신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반응형LIST'지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걸음 내딛기 (0) 2021.05.17 백색소음이 집중력을 보호한다? (0) 2021.05.17 전보다 나아진 미국과 일본 페어 (0) 2021.05.11 어제 뭐 봤어? YouTube로 다큐멘터리 (0) 2021.05.10 톡톡거리는 리듬감 (0) 2021.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