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애니메이션(2)
-
사실 마법은
마왕을 무찌르고 난 다음, 파티는 해산했다 각자 자신의 삶으로 돌아갔다 10년 추억을 남기고 스승은 싸우는 마법만 가르쳐 아쉬움을 표했다 자신이 만든 다양한 마법을 알려 주지 못해 아쉬움을 표했다 스승이 가장 좋아하는 마법은 꽃을 피우는 마법이라 했다 모험이 끝나고 프리렌은 마법 수집 여행을 떠난다 파티에 참여하기 전에도 그랬을 것이다 가는 곳마다 파티와의 추억을 되뇌고 동상의 녹을 제거하는 마법, 잃어버린 장신구를 찾는 마법 등을 대가로 세상에 잔존하는 악을 제거한다 동상의 녹을 제거 하거나, 잃어버린 장신구를 찾는 마법이 스승의 그것인지는 모른다 다만, 한밭 가득 꽃을 피우는 마법 같다 여러 가지 이유로 과학 기술이 발전하지만, 가장 큰 점유율은 인간의 편의를 향상할 목적이 차지할 것이다 스승은, 인..
2024.02.20 -
플루토
원작: 우라사와 나오키 ‘플루토’ (테즈카 오사무의 ‘철완 아톰’을 모델로 하고 있다) 우라사와 나오키: ‘마스터 키튼’, ‘몬스터’, ‘20세기 소년’, ‘빌리 배트’의 작가 인간과 로봇을 구분해 보자. 인간은 유기물로 구성된 몸체에, 유전자를 기본 정보로 한 독립적 개체이다. 로봇은 무기물로 구성된 몸체에 소프트웨어를 정신으로 한 의존적 개체이다.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에서 인공지능으로 전환되고 있다. 로봇은 잡념이 없다. 그래서 조직 구성원으로는 최적의 조건 중 하나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럼, 로봇의 시대에 인간이 최적의 조건을 가진 개체로 활동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일까? 실현 가능성의 반증을 갖춘 것을 예측이라 한다. 이런 반증 없는 직관을 예언이라 한다. 로봇과 인간 중 예측이 가능한 개체..
20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