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출물(2)
-
기록의 의미
새삼스러웠다. 항상 메모 도구를 손 옆에 두며 기록하는데도 기록의 방법에 관심이 갔다. “나는 제대로 기록하고 있는가?” 이런 의문이 문뜩 떠오를 때가 있는데 오늘이 그 날인가 보다. 2021년 현재, 손과 가까운 기록 매체는 무엇이 있을까? 스마트폰 카메라, 스마트폰 메모장, 수첩과 펜, 플래너와 펜, 일기장 혹은 다이어리와 펜, 칸이 넓은 달력과 펜, 포스트 이과 펜, 워드 프로세서와 키보드, 소셜 미디어와 키보드, 블로그와 키보드 등이 현대 기록 도구일 것이다. 이 외에도 있다면 개인 차이에 의한 것일 것이다. “나는 무엇을 기록하고 있는가?” 다시 볼 것을 결심하며 기록하는 일은 거의 없다. 회의 중 메모는 나중에 보고서 쓸 때 다시 보겠지만, 개인적인 피드백(feed-back)을 위해 그날 기록..
2021.02.21 -
전환 후 가치 판단
새로 수립한 생활 최적화 계획, 그리고 부드러운 적용. ‘과거’의 일상은 점점 변하여 ‘새로운’ 일상으로 대체되고 있다. 새로운 계획의 적용은 대상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한다. 생활 최적화 계획은 사업 계획 적용과는 다르다. 동일한 경우도 있겠지만 다른 경우도 있다. 이제 다른 경우를 이야기 하겠다. 기존의 일상을 신규 일상으로 전환할 때 반드시 계획에 기술된 순서대로 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서, 개선할 항목을 정리된 대로 top-down 방향으로 차례로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겠다고 하는 행위는 진지한 행위다. 그럴 때 우리는 보수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씩 하나씩’, ‘한 걸음씩’, ‘계획표에 따라 그대로’. 물론 이해되는 상황이고 필자 역시 그랬다. 안심이..
2020.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