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0)
-
코로나가 던진 직원 스트레스 케어
미국인 중 거의 41%가 COVID-19 사태로 인한 정신 건강 문제에 고투하고 있지만, 이 문제를 처리할 준비가 되어 있는 기업은 많지 않다. 치료사 가족 안에서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8개월은 고통을 겪고 있는 가족, 친구, 동료들에게 전할 "올바른 일(right thing)"을 찾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려준 기간이었다. 이는 업무 메일을 보내는 것에서도 마찬가지다: 메일 말미에 "잘 지내시길 바랍니다(hope your are well)"이라고 쓰기가 어렵다. 모두 그렇게 지내질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겪는 미국인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질병 통제 예방 센터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 중 거의 41%가 COVID-19 사태로 인한 정신..
2020.11.10 -
코로나 중 소비자 정서 및 행동 변화
코로나 사태의 불확실성이 소비자 정서 및 행동에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https://www.mckinsey.com/business-functions/marketing-and-sales/our-insights/a-global-view-of-how-consumer-behavior-is-changing-amid-covid-19 2020. 7. 8 부분적으로 문호를 개방한 국가들에서조차, 소비자 낙관론(consumer optimism)은 침묵을 유지하고 있고, 소비 의향은 아직까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생존하는 법을 배우는 만큼 그리고 자국 경제의 일부를 다시 여는 국가가 많아지는 만큼, 소비자 행동은 뉴 노멀(new normal)에 다가가고 있다..
2020.07.23 -
before & After
코로나 사태가 벌어진 후, 외신은 자가 격리에 들어간 사람들에게 집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소개하는 기사를 많이 보고했다. 주로 영화, 음악 플레이리스트(재생 목록)이다. 각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즐길 수 있는 대중 문화 산물들이 리스트에 올랐다. 명작도 있고 최신 등록 작품도 있다. 홈 트레이닝을 다룬 기사도 눈에 띈다. 건강과 관련해, 자가 격리가 주는 고립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론도 주요 기사로 다루었다. 자가 격리에 따른 고립감은 ‘매일 일정하게 진행할 일상을 정하라’, ‘일광욕을 하라’,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유지하면서 공원이나 산책길을 걸어라’ 등 코로나 사태 전 일상에서 형성된 생활 리듬을 유지하라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스스로 선택하면 고독, 타인에 의하면 외로움이란 말이 있다. 우리는 ..
2020.05.20 -
코로나 사태로 살펴본 전 세계 식량 공급 상황
전 세계 식량 공급 시스템이 코로나-19의 위협을 무사히 헤쳐나 왔다 *출처: https://www.economist.com/briefing/2020/05/09/the-worlds-food-system-has-so-far-weathered-the-challenge-of-covid-19 하지만 아직 안심할 수 없다 지난 1월 중국은 구정 연휴 해외 패키지여행을 금지한 바 있다. 이 조치로 뉴질랜드 무역부 장관 David Parker는 식은땀을 흘렸다. 관광객이 적어진다는 사실이 실망할 일일 수 있지만, 중국에서 관광객을 싣고 오는 비행기가 없다면, 뉴질랜드에서 농산물을 싣고 나가는 비행기도 없을 수 있다. 이는 중국이 뉴질랜드 산 식품의 최대 고객이고 식품은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가진 수출품이기 때..
2020.05.15 -
캐주얼 관계 out, 동반관계 in
*출처: https://www.economist.com/international/2020/05/09/casual-sex-is-out-companionship-is-in?cid1=cust/ednew/n/bl/n/2020/05/7n/owned/n/n/nwl/n/n/AP/468836/n 코로나 사태에 따른 개인적 고립은 독신자들에게 정서적 친밀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했다. 스마트 폰 화면으로 보기에 Rob(실명 아님)은 괜찮게 보였다. 24살에, 전통적 시각으로 그는 잘 생겼고, 월 스트리트에서 일하는 그는 데이트 앱에서 매력적인 프로필을 가진 사람이었다. 바에서 침실로 여성을 유혹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성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다. 지난 3월 코로나-19가 New York을 강타했고 그 흐름은 끊겼..
2020.05.08 -
Next Normal, New Normal
McKinsey 사이트에서 기사들을 보다가, 최근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Next Normal’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서 호기심이 동했다. 검색을 하던 중, Next Normal의 의미를 검토하기 전에 New Normal이란 용어부터 살펴봐야 할 것 같다. 뉴 노멀(영어: New Normal)은 경제, 사업 용어로 2007–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경제 침체 기간 동안 만들어진 새로운 경제적 기준을 말한다. 저성장, 저금리, 저물가가 지속되는 것이 특징으로 꼽힌다. 이 단어는 미국의 벤처 투자가 R.McNamee가 저성장, 저소득, 저 수익률, 고위험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경제적 기준으로 제시하여 쓰였다. 이후 널리 쓰이게 된 건 2008년 채권운용사 Pimco의 ..
2020.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