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 데이터 시대의 사랑: 사랑에 공식이 존재할까? (3)지난 글 2017. 8. 13. 17:14728x90반응형SMALL
1970년대가 시작되면서, 이혼율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 심리학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결혼 생활의 행복이 무엇에서 오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과학이 이를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 사회 심리학자들은 결혼의 성공 혹은 실패의 원인이 무엇인지 연구하기 위해 독창적인 기법들을 광범위하게 선보이기 시작했다. 사회 심리학자들은 연구 참여 커플들에게 상대방에 대해 싫어하거나 좋아하는 모든 것을 적도록 한 다음, 그 커플들이 소파에서 얼마나 가까이 앉아 있는지를 살펴봤다. 사회 심리학자들은 커플들에게 실험실 테이블 밑에 설치된 다이얼을 돌려 파트너가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평가하게 함과 동시에, 여행을 위해 짐을 싸는 방법에 대해 논쟁하도록 했고, 심지어 싸우도록 조장하기도 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전에 없던 일을 한 커플들이 오히려 더 잘 지냈고, 다른 연구에서는 한때 사랑에 미숙한 표시로 믿어졌던 강렬한 감정이 더 깊은 친밀감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웰빙을 달성하는데 파트너가 얼마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제시하며 - 훌륭한 결혼 생활이 올바른 식습관과 금연보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데 더 도움이 됐다는 연구결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 Ottawa 커플 및 가정생활 연구소의 Sue Johnson은 “20세기 인간을 위해 일어난 가장 흥미진진한 혁명” 가운데 있는 것 같았다고 내게 말했다.
그녀는 “다른 모든 시인과 철학자들이 잘못된 이야기를 했음이 증명되는 순간을 상상해 보라”고 하며, “마침내 우리는 사랑이 무엇인지 이해하게 됐고, 실제로 숙고와 숙의를 통해 제대로 된 사랑을 실제로 만들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최근 어느 날 오후, Gottman 부부와 나는 시애틀 시내 사무소에서 만나 John의 연구 내용과, 그들이 어떻게 Gottman 방식으로 전환했는 지에 대해 대호를 나누었다. Julie는 청록색 셔츠를 입고, 큰 귀걸이를 했으며, 풍성한 검은색 곱슬머리에 수잔 손탁의 백색 리본을 달고 있었다. Julie보다 키가 작고 매부리코를 가진 John은 검은 재킷을 입고 백발인 머리카락 앞에는 야물커를 쓰고 있었다. 그는 평범한 메모지철을 들고 있었다.
John은 “우리가 결혼하고 몇 년 후, 나는 취업을 위해 시카고로 가길 원했다. 그러나 Julie는 시카고는 너무 재미가 없다고 느꼈고, 우리는 그대로 머물렀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Julie가 중간에 그의 말을 막으며 “글쎄, 그건 좀 더 후의 일이야”라고 말했다. “실제로는 육아 지원 단체를 제안하기로 결정했다. 기억해?”
“어, 그래”라고 맞장구를 치며 “그것을 잊고 있었네”라고 말했다.
Gottman 부부의 상호작용을 가까이서 봤을 때 처음에는 좀 불안해 보였다. 공개 석상에서 대부분의 커플들은 목소리를 낮춰 입씨름을 하고 조정하고 곁눈질을 하고 서로 친밀한 것처럼 희망적인 이야기를 한다. Gottman 부부는 그러지 않았다. 컨퍼런스 테이블에 마주 보고 앉아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은 생경하게 느껴질 것이다. 그들은 시종일관 자신의 생각을 표정으로 교환한다. 두 사람 모두 상대의 행동이나 기억 서술이 지속되지 못하게 한다. 주로 Julie가 John의 행태와 기억의 잘못을 꼬집어 John의 말 중간중간에 그의 행동을 바로잡는다. John은 그런 Julie의 행동에 감정을 세우지 않고 받아들인다. 그들은 마치 부부 요법(couples-therapy language)을 받는 것 같이 행동한다. (“거기까지!” John이 자신의 전 부인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 하면 Julie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관계에 존재하는 깊은 상처들을 거리낌 없이 꺼내 놓는다. 또한 파고들기까지 한다. John이 Julie와 어깨동무를 하면, Julie는 John의 품 속으로 들어가고, 서로를 바라보며 코 주름을 만든다. Julie가 내 앞에서 운 건 두 번이었는데, 한 번은 John이 그녀를 나쁜 엄마의 대명사로 만들었을 때, 또 한 번은 John이 그녀를 “내 기도의 응답”이라 했을 때다.
그들은 1989년 양육 지원 그룹을 시작했다. 당시엔 10 커플이 1주일에 한 번 시애틀 유대인 지역사회 센터(the Seattle Jewish Community Center)에 모여 아이들과 생활하는데 있어서의 좋았던 점과 나빴던 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정도였다. John은 마치 이 모임이 실험을 하는 상황이라 상정하고 접근했다. Julie는 “John은 모든 것을 관찰하고 이해하려 했다”고 회상했다. “그리고 나는 이 부모들을 도울 방법을 찾기 위해 토론에 뛰어들어 그들이 느낀 감정에 대해 대화를 나누었다. 그 후 우리는 괜찮은 대화를 나누었음에 미소 지었다. John은 ‘왜 이 사람들을 도우려는 거야?’라고 말했고 나는 ‘여보, 당신은 왜 도우려 하지 않지?’라고 답했다.”
1970년대 중반 John이 커플들에 대해 연구를 시작했을 당시, 그 자신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었다. 그는 브루클린과 뉴저지에서 자란, 친구가 거의 없는 괴짜였다. 어른이 되고 나서도 그의 애정 생활은 안정되지 않고 행복하지 않은 상황의 연속이었다. 그는 함께 있는 여성과 만족스러운 생활을 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됐다. 2년간의 교제 후 그와 그의 여자친구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폐렴 같은 관계가 될 정도로 싸웠다.
그는 위스콘신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했고, 문제 해결 본능을 활용해 자신의 외로움을 해결하려 노력했다. 인간 피험자에게 전극을 붙여 감정이 어디서 비롯되는지 알아 내려 한, 과학 소설의 안드로이드처럼, John은 가능한 광범위하게 실험 범위를 설정했다: 훌륭한 관계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훌륭한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그의 경력은 심리학자 Robert Levenson을 만나면서부터 시작됐다. 두 사람은 서로를 필요로 했다. Levenson은 놀랄 정도의 충격을 받은 후 심박수와 땀샘 활동을 조사해서 스트레스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차이를 조사하고 있었다. John과 팀을 이뤄 활동하면서 Levenson은 마치 전기 충격을 부여하는 것보다 “개인적으로 의미가 있고 정서적으로 풍부한 어떤 것을 연구하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전했다. 한편 Levenson과 팀을 이룬 John은, 사람들이 설문조사에서 직접 답하는 것보다 좀 더 “실질적으로” 부부 생활의 행복을 측정할 방법을 밝혀낼 수 있을 것 같다 생각했다.
이번 협업으로, John은 커플들이 요리를 하고 TV를 함께 보는 등 “일상” 생활을 하게 될, 실질적 모의 아파트 공간을 만들게 됐다. “전극을 몸에 달고 있는 것, 그리고 천정에 관찰 카메라가 달려있는 것을 제외하면 침대에서 아침을 먹는 것과 같은 상활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그리고 그는 새롭게 떠오른 컴퓨터의 힘을 빌어 커플 간 상호작용에서 수집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자들은 몇 시간 동안 녹화된 비디오를 평가하며 표정을 해석하고 기쁨, 혐오 그리고 공포 같은 커플들의 감정을 평가하도록 훈련되어 있었다. 연구 보조자들은 커플들이 자신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으로 구성된 커플 관계 이력에 대해 기입할 설문지를 작성했다. 그리고 컴퓨터들은 커플들이 시시덕대거나 싸우는 동안의 심박수와 혈관 긴장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했다.
몇 년 동안의 관찰 후, 이 심리학자들은 어떤 커플이 행복해졌고, 어떤 커플이 헤어졌는지 관찰했다. 그들은 이전에 수집한 데이터와 함께 연구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한 후, 특정 행태 및 생리적 반응을 장기적 행복과 연결하는 방정식을 만들어냈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것은 지속적 사랑에 대한 매혹적이고 때때로 놀라움을 주는 관찰 내용이었다. 그들은, 행복이 지속되는 커플들은 “우리”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했고, 그렇지 않은 커플들은 “나” “나를” 그리고 “내 것”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했다. 또한 두 심리학자들은, 밝은 장기 전망을 가진 파트너들은 논쟁할 때 부정적 의견 대 긍정적 의견의 비율이 1:5를 유지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Levenson은 “당시 모든 사람들은 로맨틱한 관계가 환상적인 순간으로 가득하다는 생각에 매료되었었다”고 회상했다. “그것이 우리가 발견해 낸 것은 아니다. 결혼 생활을 지속할 것인지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서로에 대해 진정시키고 달래며 흥분 수준을 줄이는 커플들의 능력이 있느냐였다.”
Photo by Robert Wnuk on Unsplash
‘빅 데이터 시대의 사랑: 사랑에 공식이 존재할까? (4)’로 계속됩니다…
반응형LIST'지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질 보조제 사용 중? 하루에 얼마나 먹어야 할까? (0) 2017.08.18 2016년, 당신의 보너스를 경험을 얻는 것에 소비하라 (0) 2017.08.15 왜 우리는 ‘셜록’에 열광하는가? (0) 2017.08.10 ‘빅 데이터 시대의 사랑: 사랑에 공식이 존재할까? (2) (0) 2017.08.10 '불' 필요 없는 여름 요리 (0) 2017.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