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멀리즘(21)
-
일상 설계: 동선 및 리스트
아침에 수면에서 깨어난 시점부터 다시 수면에 드는 시점까지, 일과 일별 도구, 장비, 자원, 그리고 산출물 예정 사항을 정리하고 시간을 할당하는 것을 일상 설계라고 정의하겠다. 또한 요일별 및 주별, 월별로 필수 행동, 내용, 필요 도구/장비/자원, 산출물을 리스트로 만들어 완료 여부를 표시할 리스트를 만든다. 일상 설계는 행위 및 산출물을 묶은 ‘행동’이라는 노드(node)와, 노드에 가지를 쳐 기입한 자원/도구/장비, 그리고 노드와 노드를 잇는 라인과 예상 소요 시간으로 구성된다. 이를 ‘동선’이라고 정의하겠다. 동선 설계의 목적은 생활 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행동을 구성하는 것이고, 목표는 단순히 소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시간과 행위를 제거하고 여유 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동선을 구..
2020.04.05 -
대여, 만족 추구
대학 교재 대여 서비스가 있다고 한다. 필요한 학생은 정가의 10%에 교재를 대여하는 서비스다. 최근 1인 가구 증가 및 경제 불활 지속으로 대여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2006년 3조 원 규모인 대여 시장은 2040년이 되면 40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위 글에서 ‘명품을 사라’고 말한 필자가 ‘대여’를 주제로 생활 최적화 방법을 제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여 시장의 성장 이유 혹은 배경으로 꼽히는 것은, ‘구입보다 합리적인 가격, 신제품 교체 사용으로 개인의 만족 증가’이다. 명품을 구입해 사용하고, 5년 10년이 되면 ‘빈티지’ 혹은 ‘레트로’ 문화를 영위할 수 있다. 낡은 제품의 매력은 ‘추억’이라기보다 비즈니스 관점으로 ‘희소 제품의 소유’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우리나라 사람들..
2020.04.03 -
홈 활동
지난해, 그리고 올해도 ‘홈’ 접두사가 붙은 활동이 눈에 띈다. 피트니스 센터가 아닌 집안에서 운동하는 ‘홈 트레이닝 Home Training’이 대표적이다. 필자 역시 홈 트레이닝처럼 집안에서 필요한 활동을 한다. 필자가 이런 활동을 시작한 이유는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 때문이다. “의지의 문제다.” 다시 말하면, 매월 월정액을 내고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을 하겠다고 결심하지만, 회사 업무, 불가피한 가정 일 등으로 매일 다니겠다는 계획이 어긋난다. 운동을 거르는 날이 하루, 이틀 늘어나면 오히려 피트니스 센터를 가지 않는 것에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보다 중요한 일이라는 명분을 스스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납부한 회비가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달에는 가야지’하며 선납을 하고 명분을 내세워 ..
2020.03.31 -
명품을 사라
‘미니멀리즘이라며! 무슨 말을...’이라고 생각하는, 성질 급한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선입견이 강하고 선입견이 들면 다른 내용이 머릿속에 들어가지 않아서 그렇다. 나쁜 사람들은 아니다. 단지 마음이 성장하지 못해서 이다. 필자만의 사견이 아니라, 명품은 품질을 의미하지 가격을 의미하지 않는다. 명품을 사서 걸치고 으스대는 인사들 중에는 경제 능력을 자랑하는 단순 파도 있지만, 명품을 알아볼 수 있는 능력을 자랑하는 이론 파도 있다. 진짜 명품을 제대로 알아보는 지식 파는 으스대지 않는다. 어느 분야든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말이다. 고개 숙이지 않는 분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익지 않아 고개가 내려가지 않는 것이다. 미니멀리즘 혹은 최적화된 삶에서 명품은 필수 불가결..
2020.03.29 -
사회, 문화, 관계
라이프스타일, 삶, 일상, 생활을 최적화하자는 이 글에서 이 장 章의 제목은 어울리지 않고 거대해 보인다. 필자가 장의 제목으로 정하는데 망설인 이유가 이것이다. 그러나 사용하기로 결론을 내린 것은, ‘나의 삶’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회, 문화, 관계’를 최적화하라는 이야기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믿고 싶은 사람’, ‘믿고 있는 사람’, ‘믿었던 사람’이 있나?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어쩌면 죽고 난 후에도 우리는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가족부터 친지, 친구, 이웃을 만난다. 나에게 진지하든 진지하지 않던, 우리는 인식하지도 못할 만큼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때론 마음이 없이 웃고 있는 자신, 진심으로 대하고 있는데 오해 받는 자신, 때론 진심으로 웃고 있는 자신, 진심을 이해 받은 자신이 된다...
2020.03.27 -
우선순위 수립 방법
‘최적’이란 가장 알맞은 상태를 말한다. ‘최적화’란 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어떤 조건 아래에서 주어진 함수를 가능한 최대 혹은 최소로 하는 일을 말한다. 이러한 ‘최적화’가 비즈니스에서는 ‘사업 환경을 사업에 가장 알맞은 상태로 만들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 글에서는 최적화의 의미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나에게 가장 알맞은 상태로 조성한다’라고 규정하겠다. 무엇을 가장 알맞은 상태로 조성하려면, 조성 활동에 우선순위를 두어 가장 중요한 것부터 추진한다.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에서 중요함의 기준은, 예방 활동으로, 급하지 않지만 중요도가 높은 활동‘을 의미한다. 이에 의거, 중요도가 높은 활동을 가려내는 것을 ’우선순위 수립 활동‘으로 규정하겠다. 최적화를 진행함에 있어..
20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