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6. 21:38ㆍ영화 이야기
일본 만화 '슬램덩크'가 전하는 메시지는 단순히 '포기하지 말라' 혹은 '꿈을 좇아라'일까?
이 작품에서 가장 인상적인 요소 중 하나는 등장인물들의 성장이다.
- 강백호(사쿠라기 하나미치): 처음엔 농구를 전혀 모르는 문제아였지만, 좌절과 실패를 겪으면서도 노력하며 점점 농구선수로 성장한다.
- 서태웅(루카와 카에데): 타고난 재능을 가졌지만, 자기 자신을 더욱 단련하며 최강이 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 채치수(아카기 타케노리): 고교 마지막 대회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팀을 이끌며, 꿈을 이루기 위해 헌신한다.
즉, 슬램덩크는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도전"이라는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한다. 또한, "꿈을 좇아라"는 메시지가 있지만, 무조건적인 성공보다는 꿈을 향해 노력하는 과정과 성취의 순간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작품 속 등장인물들은 각자 자기만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 채치수는 전국 제패를 꿈꾸고,
- 서태웅은 NBA 진출이라는 더 큰 무대를 바라보며,
- 강백호는 처음엔 단순한 호기심과 자존심으로 농구를 시작했지만, 점점 농구 그 자체에 대한 열정을 갖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슬램덩크가 "무조건 승리하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 북산은 전국대회에서 산왕공고를 꺾지만, 다음 경기에서 패배하며 대회를 마감한다.
- 채치수는 자신의 농구 인생이 고교 대회로 끝나지만, 후배들에게 꿈을 남긴다.
- 강백호는 부상으로 인해 시즌을 마무리하지만, "난 지금 농구가 하고 싶다"는 마지막 대사로 끝없는 도전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작품은 단순한 승패를 넘어, *도전하는 과정 자체의 가치*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개인의 능력뿐만 아니라 팀워크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 북산은 개성이 강한 선수들이 모였지만, 서로를 인정하고 협력하면서 최강의 팀으로 성장한다.
- 강백호는 개인플레이에 집착했지만, 점점 패스를 배우고, 리바운드를 통해 팀을 돕는 법을 깨닫는다.
- 서태웅조차도 마지막 경기에서 "이제 우리 팀을 믿는다"라고 말하며 변화한다.
이렇듯 슬램덩크는 단순한 스포츠 만화가 아니라, 인생에서 중요한 가치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성장해야 하는가에 대한 깊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이다.
열정과 몰입의 순간
누구나 한 번쯤 어떤 대상에 강렬한 열정을 품었던 순간이 있었을 것이다. 그것이 스포츠이든, 예술이든, 단순한 취미이든 말이다. 중요한 것은 *그 순간의 감정이 우리를 움직인다는 것*이다. 정말 좋아서, 미칠 것 같아서 몰두했던 경험. 그 감정이 우리를 살아있게 만든 순간이었을 것이다.
강백호도 마찬가지였다. 처음에는 한 사람(채소연)을 위해 농구를 시작했지만, 점점 농구 그 자체에 미쳐갔고, 마침내 "난 지금 농구가 하고 싶다"는 깨달음에 이른다. 처음의 목적이 무엇이었든, 그 과정에서 '순수한 몰입'을 경험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몰입의 순간은 우리가 살아있음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몰입이 쌓이면 성취로 이어지고, 성취가 반복되면 열정이 생긴다.
몰입과 성취가 만들어낸 열정 – 영화 속 사례
이러한 '몰입 → 성취 → 열정'의 흐름은 다양한 영화에서도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특히, 다음 영화들은 열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극적으로 보여준다.
1. 위플래쉬 (Whiplash, 2014) – 성취를 경험할수록 몰입이 강해지고, 결국 열정이 극한으로 폭발하는 구조.
- 평점
- 8.4 (2025.03.12 개봉)
- 감독
- 데미안 셔젤
- 출연
- 마일스 텔러, J. K. 시몬스, 멜리사 비노이스트, 폴 레이저, 오스틴 스토웰, 네이트 랭, 크리스 멀키, 수앤 스포크, 찰리 이언, 제이슨 블레어, 카비타 패틸, 에이프릴 그레이스, 데이먼 겁튼
2. 조이 (Joy, 2015) – 성취가 곧 몰입으로 이어지고, 그것이 열정과 신념으로 변하는 과정.
- 평점
- 7.0 (2016.03.10 개봉)
- 감독
- 데이비드 O. 러셀
- 출연
- 제니퍼 로렌스, 로버트 드 니로, 브래들리 쿠퍼, 에드가 라미레즈, 다이안 래드, 버지니아 매드슨, 이사벨라 로셀리니, 대샤 폴란코, 엘리자베스 롬, 수잔 루시, 로라 라이트, 모리스 베나드, 지미 장 루이스, 켄 하워드, 존 에노스, 마리안느 레온, 드레나 드 니로, 멜리사 리버스, 도너 밀스
3. 소셜 네트워크 (The Social Network, 2010) – 일이 되어가는 순간이 강렬하게 묘사되며, 몰입과 열정이 함께 움직이는 모습.
- 평점
- 7.6 (2021.09.02 개봉)
- 감독
- 데이빗 핀처
- 출연
- 제시 아이젠버그, 앤드류 가필드, 저스틴 팀버레이크, 루니 마라, 아미 해머, 맥스 밍겔라, 브렌다 송, 조셉 마젤로, 캘빈 딘, 아리아 노엘레 커즌, 마르셀라 렌츠-포프, 배리 리빙스톤, 존 게츠, 라시다 존스, 데이빗 셀비, 맬레즈 조우, 다코타 존슨, 제프리 토마스 보더, 브라이언 바터, 더스틴 피츠시몬스, 패트릭 마펠, 매리베스 마셋, 캐리 암스트롱, 헨리 루즈벨트, 조쉬 펜스, 압히 신하, 마크 사울, 세드릭 샌더스, 잉거 튜더, 마리아 보너, 엠마 피츠패트릭
4. 포드 V 페라리 (Ford v Ferrari, 2019) – 스포츠/기술 분야에서 성취가 몰입을 만들어내고, 그것이 곧 열정으로 이어지는 과정.
- 평점
- 8.6 (2019.12.04 개봉)
- 감독
- 제임스 맨골드
- 출연
- 맷 데이먼, 크리스찬 베일, 카이트리오나 발페, 존 번달, 조쉬 루카스, 제이제이 페일드, 노아 주프, 레이 맥킨넌, 아담 메이필드, 트레이시 레츠, 이안 하딩, 월리스 랭햄, 조나단 라팔글리아, 마리사 페트로로, 워드 호튼, 브래드 베이어, 잭 맥멀런, 레모 지론, 크리스토퍼 다가, 벤 콜린스, 벤저민 릭비, 숀 캐리건, 조 윌리엄슨, 티파니 이본느 콕스, 다린 쿠퍼, 와이엇 내쉬, 로베르타 스파르타
5. 킹덤 (Kingdom, 넷플릭스 시리즈, 2019~) – 성취를 위해 몰입하는 캐릭터들의 모습이 강렬하게 표현됨.
- 시간
- 금 오후 5:00 (2019-01-25~2019-01-25)
- 출연
- 주지훈, 배두나, 류승룡
- 채널
- Netflix
6. 빌리 엘리어트 (Billy Elliot, 2000) – 몰입과 성취가 열정을 만들고, 그것이 삶의 목표가 되는 전형적인 사례.
- 평점
- 9.3 (2017.01.18 개봉)
- 감독
- 스티븐 달드리
- 출연
- 제이미 벨, 줄리 월터스, 게리 루이스, 진 헤이우드, 제이미 드레이븐, 스튜어트 웰스, 마이크 엘리엇, 빌리 페인, 니콜라 블랙웰, 캐롤 맥과이건, 매튜 제임스 토마스, 조 렌턴, 콜린 맥라클란, 재닌 버켓, 트레버 폭스, 찰리 하드윅, 폴 리들리, 스티븐 망간, 바바라 레이-헌트, 애덤 쿠퍼, 패트릭 말라하이드
이처럼 몰입과 성취의 순간은 우리의 열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몰입하는 환경을 만드는 법
몰입은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 몰입 환경 조성:
- 소음 차단 헤드폰, 독서등, 인체공학 의자 같은 도구를 활용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 연구에 따르면, 작업 환경을 개선하면 생산성이 30% 이상 증가한다.
- 작은 성취의 기록:
- 처음부터 큰 목표를 잡기보다, 하루 10분 집중하는 습관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작은 성취를 다이어리나 플래너에 기록하면 몰입할 확률이 40% 이상 증가한다.
- 반복적인 루틴:
- 운동선수나 예술가들은 특정 루틴을 반복하면서 몰입력을 높인다.
- 명상, 딥 워크(Deep Work), 뇌파 조절 음악 같은 방법도 도움이 된다.
몰입하는 순간을 경험하면 성취가 따르고, 그 성취가 쌓이면 열정이 생긴다. 결국, 우리가 찾는 열정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통치하는가 (3) | 2025.04.10 |
---|---|
공존할 수 없는 (0) | 2025.04.01 |
조직의 발전, 능력주의 (1) | 2025.02.19 |
도량(度量)을 넓혀야 할 때 (0) | 2025.02.07 |
반도체 경쟁 시대 (0) | 2025.02.05 |